오늘은 봄이 바로 곁에 와 있는 것 같습니다. 그 동안 저희 가족은 이사를 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조금 바빴답니다. 예슬이는 전학을 간 탓에 새로운 친구들을 사귀느라 바쁜 것 같습니다. 제가 중학교 2학년 때 전학을 해 본 경험이 있는 터라 걱정을 했는데 아이 말로는 친구들과 재미있다고, 며칠 전에는 친구들을 집에 데리고 오기도 했답니다. 정빈이는 처음 가는 학교가 재미있어 일요일이 왜 있으냐고 투덜거립니다. 남자아이들은 거칠어서 싫다는 정빈이는 지훈이라는 남자아이가 짝이 되어 서먹해 하더니 며칠 전에는 짝의 얼굴을 그려왔더군요. 이마 중간쯤에 있는 머리를 주황색으로 칠을 한 그림 밑에는 "특찡(소리나는 대로 적었나 봅니다) : 머리가 주황색임" 이라고 적혀 있었어요. 멋을 낸 머리였던가 봅니다. 지금은 가끔 말도 한다고 하네요. 아이들은 정작 잘 적응을 하는 것 같은데 제가 제일 힘든 것 같습니다. 오늘은 한겨레21에 실린 제 글을 소개할까 합니다.
![]()
요즘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시청 가능한 연령을 표시한다. 하지만 그것을 잘 지키는 집은 얼마나 될까? “잔인하지도 않은데 왜 못 봐요”
열다섯, 여덟살의 두 아이와 함께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찾기 어려워 특별한 경우말고는 우리 집에서 주중에는 텔레비전을 켜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남편은 “<야인시대>를 보지 않는 남자는 대한민국에 자기뿐”이라며 엄살을 떤다. 우리 부부가 꼭 보아야 할 프로그램에 ‘15’ 라는 숫자가 뜨면 큰아이는 시키지 않아도 동생을 데리고 방으로 간다.
얼마 전 큰아이와 동갑내기가 있는 집에 갔을 때 일이다. “야한 것도 없고 잔인한 것도 아닌데 왜 못 본다는 거예요”
얼른 들어가라고 다그치는 아이 엄마의 눈은 텔레비전 화면에 고정되어 있었다.
“폭력적인 것이나 선정적인 것만 연령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야. 드라마 중에는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는 참 드물어. 가족 형태가 정상적이지 않거나 그 속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감정이 극단적으로 대립하거나…. 사실 나는 <인어 아가씨>를 보지 않으니 어떤 내용인지 정확히 모르지만 비정상적이고 극단적인 상황들이 많은 것 같아. 지금 화면에 나오는 저 두 사람, 시어머니와 며느리 관계도 그렇잖아.
어른들은 가치관이 완성되었으니 단순한 픽션, 즉 허구로 받아들이지만 아직 미성숙상태의 아이들에게는 그런 것들을 걸러서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그것으로 인해 인간관계나 사회에 대해 잘못된 생각을 가질 수 있어.
사람의 가치관이라는 것은 한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주변 영향을 받으며 아주 서서히 스며들듯 완성되거든. 드라마 속의 복잡하고 비정상적인, 극한 상황의 인간관계가 너희에게 ‘재미’는 주겠지만 바른 가치관 형성에는 도움이, 아니 나쁜 영향을 끼칠 수도 있어.
그리고 이런 프로그램을 너희가 보지 말아야 하는 것은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고 생각해. 규칙이나 법규는 지켜야 한다는 것이지. 당장 별일 없다고 해서, 내 생각에 불합리하다고 해서 마음대로 어기면 안 되는 거야. 지키면서 불합리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의견을 제시해 고쳐나가는 과정을 거치는 것을 배워야 하지 않을까 해.” 규칙 무시부터 배우는 아이들
대구지하철 참사를 지켜보며 많은 사람들이 ‘안전불감증’을 이야기한다. 하지만 아이가 보고 싶어한다는 이유로 연령제한 드라마의 시청을 허락하는 부모들은 한번 생각해볼 일이다. 나는 그들을 ‘안전불감증 부모’라 말하고 싶다.
그 프로그램들을 본다고 해도 당장 무슨 일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그렇게 위험해보이지도 않고 우리 아이만 보는 것도 아니다. 무슨 처벌이 따르는 것도 아니고. 더 중요한 것은 내가 봐도 재미있다. 아이에게 보지 말라면서 나는 본다. 그러면 아이는 슬그머니 어른 옆에서 함께 본다. 그런 아이를 보며 스스로에게 변명한다. 애 안 보게 하려고 어른인 나까지 안 봐야 한다는 건 말도 안 돼. 어차피 크면 다 알게 될 거 조금 빨리 본다고 별일 있겠어 아이도 친구들과 어울리려면 이걸 꼭 봐야 한다잖아.
‘15’라는 숫자가 적혀 있는 텔레비전 화면을 보며 15세 미만의 아이들은 무슨 생각을 할까? 이런 사람이 되면 어쩌나 하는 것은 나의 지나친 기우일까?
|
'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 학부모를 위한 조언 (0) | 2003.06.09 |
---|---|
한마디 말로 만드는 아름다운 보석 (0) | 2003.06.09 |
정빈이와 서울에 와 있어요. (0) | 2003.06.09 |
맑은 유리창으로 아이를 보고 싶다 (0) | 2003.06.09 |
시험치는 아이의 엄마 노릇 (0) | 2003.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