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가는 이야기

저는 닭살 부부의 딸입니다.

착한재벌샘정 2003. 6. 9. 11:22
언젠가 아이들에게 가장 좋은 교육은 부모가 서로 사랑하는 모습을 보여주라는 글을 쓴 것이 있어 옮겨 보았습니다.

가장 좋은 교육은 서로 사랑하는 부모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

언젠가 한 목사님으로부터 들은 이야기입니다.

그 분은 아들이 고등학생이 되고 부터 하루에도 서너 번 씩 아들이 보는 앞에서 아내에게 뽀뽀를 했답니다.

그 아들이 고 3이 되면서 주말마다 아내와 함께 여행을 가셨다고 해요.

아들이 고 3 아들 뒷바라지는 안하고 어딜 가느냐고 물을 때면

"공부는 네가 하는 것이고, 우리는 부부야. 서로 사랑하는 사이이니 서로 사랑을 해야하는데 고 3 아들이 있어 눈치 보이고 해서 피난을 간다"

라고 말씀을 하셨고 그 것은 그 분의 아들 뒷바라지였다고 하시더군요.

그 분 말씀이 아이들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정서적인 안정이라 말씀을 하시더군요.

아이들이 정신적으로 가장 안정될 때는 바로 부모들의 사랑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니 아내를 아끼고 사랑하고 그 것을 표현해 줌으로서 자신은 두 가지를 함께 얻었다고, 아내와 더 깊이 사랑하게 되었고 아들의 공부에 가장 큰 뒷바라지를 한 것이라고 말입니다.

그래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들은 일요일 날 혼자 라면 끓여 먹으면서 공부를 했는데도 원하는 곳으로 진학을 했다고 하시더군요.

사랑하는 부모의 모습을 보여 주는 것, 아이들에게 이 보다 더 좋을 순 없다!!!라는 말에 저도 동감을 합니다.

우리 집 이야기를 하나 할게요.

가족 모임이 있어 여섯 가족이 아이들을 데리고 모여 저녁을 먹고 함께 시간을 보내고 있었는데 갑자기 한 부인이 남편이 너무 권위적이고 집안 일도 도와주지 않는다고 불평을 했습니다.

그러자 이 땅의 아내들 남편에게 불평 없는 사람 어디 있겠습니까?

대부분 한 마디씩 두 마디씩 자신의 남편이 더 하다고 열을 내며 경쟁을 하더군요.

전 그런 모임에서는 천하에 기분 나쁜 왕따입니다.

전 절대로 다른 사람에게 남편의 험담을 안 하거든요.

왜냐구요?

이상하게 전 조금 섭섭했던 일도 말로 그려내고 나니까 더 섭섭한 것 같고 한 번 두 번 이야기를 하다보면 더 분하고 괘씸해지기까지 하는 거예요.

그래서 섭섭한 건 그냥 말을 안 하죠.

그 대신 쬐끔 잘 해준 것도 열심히 자랑을 합니다. 그러면 이야기 할 수록 고마워지는 것이 새록새록 남편이 더 예뻐지는 거예요.

그래서 칭찬만 해요. 그러니 누가 날 좋아하겠어요.

그 날도 맞벌이 부부가 많은데 설거지 안 해주는 남편들 이야기로 이야기꽃이 피었지요.

전 이렇게 이야기를 했습니다.

"우리 이 양반도 설거지 안 해요. 아니 못한다는 게 더 맞겠네요. 요즈음 너무 바쁘고 힘들어서 지쳐서 집에 돌아오거든요. 아마 자기도 해주고 싶지만 너무 피곤해서 해주지는 못하고, 말을 안 해도 저 한테 굉장히 미안해하고 있을 거예요. 그렇죠, 여보?"

울 남편 쑥스러운 듯 씨익 웃더군요.

누구나 자신의 험담을 들으면 기분이 좋지 않잖아요.

남들 앞에서 자기 흉을 보는데

"맞아, 내가 잘못했어. 아무리 피곤해도 아내도 아이들 키우랴, 집안 일 하랴 바쁘고 힘들텐데... 그래, 내가 잘못했어. 내일부터라도 내가 더 열심히 가사 일을 도와야지."

뭐 이런 식으로 반성하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요?

자기가 안 하는 걸 알고 인정은 하지만 도리어 성이 나는 게 사람 심정 아닐까 합니다.

그리고 그 걸 지켜보는 아이들은 어떻게 듣고 느낄까요?

울 남편 그런 날이면 집에 돌아 와 혼자 바쁩니다.

이제까지 밀린 것 들 한꺼번에 하려니 말이죠.

자기 자랑해줬으니 기분이 좋아 콧노래까지 하면서 하걸랑요.

저까지도 기분이 좋구요.

그래서 우리 아이들은 엄마 아빠가 무지 사랑하는 줄 압니다.

그런데 그렇게 자꾸 자랑을 하다보면 자랑거리가 자꾸 눈에 보이고 남편이 참 멋지게 보인 답니다.

서로 사랑하는 모습, 그 것이 최고의 교육이라고 말하고 싶은데 어떠신 지요?

정빈이는 남편과 저를 『닭살 부부』라 부르며 자기를 소개할 때 『저는 닭살 부부의 딸입니다』라는 말을 하곤 해 저희들을 웃게 만듭니다.

한 번씩 저희 부부가 음식을 먹을 때 서로 먹여 줄라치면 정빈이는 눈을 질끈 감으며 주먹 쥔 두 팔을 잘랑잘랑 흔들며
"우우∼∼ 닭살"라고 말하곤 합니다.

그럴 때마다 저는 그러지요.

"그래, 엄마와 아버지는 닭살 부부야. 사실 이것 보다 더 많이 닭살을 하고 싶은데 그래도 딸들 앞이라고 참느라고 얼마나 힘드는지 몰라."라고 말입니다.

[서점에 가면 이 책 한 번 보세요.]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과학이야기♥
♥아인슈타인이 이발사에게 들려준 이야기♥

  

【본문 중에서】

이런 국물이 튀었군.

옷의 젖은 부분은 왜 마른 부분보다 더 진한 색으로 보일까요?

질문을 하신 분은 아마 식사 중에 넥타이에 덜어진 국물 때문에 난처해하고 계신가 보군요.
물체에 반사된 빛이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우리는 물체를 볼 수 있습니다.
물체에서 빛이 많이 나올수록 더 밝게 보입니다.
뒤집어 말하면 어두워 보이는 물체는 빛을 덜 보내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국물이 덜어진 곳에서는 왜 빛이 덜 나오는가를 설명하면 되겠죠.

『과학』이라면 고개가 절로 좌우로 흔들리는 분들 계시죠?

머리말에 이 책을 한 줄로 표현하고 있네요.

「이 책은 바로 일상의 과학을 다루고 있습니다.」라고 말입니다. 이 말 이상으로 이 책을 설명할 수 없을 것 같아요.

책의 내용뿐만 아니라 편집이 재미있어요.

【누가 물어보지는 않았지만……】라는 부분이 압권입니다.